은행 가계대출 1년 10개월 만에 최대폭↑…잔액 또 사상 최대
7월말 기준 1천68조1천억원…주담대는 5개월 연속 증가세
금융당국 "주택 거래량 회복 영향…필요시 선제 대응책 마련"
은행 기업대출 증가폭도 확대…정기예금 급증 속 전체 수신은 감소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채새롬 기자 = 수도권 중심 주택구입 수요가 지속하면서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5개월 연속 늘었다.
이에 따라 은행 가계대출 역시 4개월 연속 증가, 잔액 기준으로 또다시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가계부채 문제가 다시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7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7월 말 기준 1천68조1천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원 증가했다.
잔액 기준으로는 지난달에 이어 또다시 사상 최대를 경신했다.
전달 대비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들어 지난 3월까지 감소세를 보이다가 4월( 2조3천억원) 증가세로 돌아선 뒤 5월( 4조2천억원)과 6월( 5조8천억원), 7월( 6조원)까지 넉 달 연속 증가했다.
특히 7월 가계대출 증가 폭은 2021년 9월( 6조4천억원)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늘어났다.
7월 은행 주담대는 주택구입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되면서 6조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증가 폭은 2020년 2월( 7조8천억원)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대였던 지난 6월( 6조9천억원)에 비해서는 줄었지만, 여전히 큰 폭 증가세를 이어갔다.
주담대는 올해 들어 2월(-3천억원) 반짝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3월부터 5개월 연속 증가했다.
윤옥자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수도권 중심 아파트 매매거래 증가로 가계대출이 큰 폭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면서 "아파트 거래량 증가는 2∼3개월 시차를 두고 주담대 실행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택자금 수요 지속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주담대 중 전세자금대출은 지난 6월( 1천억원) 반짝 증가했다가 7월(-2천억원) 다시 감소세를 나타냈다.
전세자금대출은 6월을 제외할 경우 지난해 11월 이후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신용대출은 높은 대출금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에 따른 둔화 흐름이 지속되면서 7월(-100억원)에도 줄었다.
다만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효과 소멸, 주식투자 관련 일부 자금 수요 등으로 감소 폭은 6월(-1조2천억원) 대비 줄었다.
은행을 포함한 전 금융권 가계대출 역시 증가세를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7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달 5조4천억원 증가해 4개월 연속 증가했다.
대출항목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이 5조6천억원 늘어 전월( 6조4천억원)보다는 증가 폭이 다소 둔화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제2금융권(-4천억원)에서 감소했지만 은행권( 6조원)에서 증가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2천억원 감소해 전월(-2조9천억원) 대비 감소 폭이 축소됐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은 6조원 증가해 4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제2금융권은 6천억원 감소했다.
금융당국은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최근 주택 거래량 회복으로 4월 이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향후 금융업권별로 주담대 및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 증가세를 밀착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필요시 하반기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는 오는 10일 이세훈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부채 관련 관계기관 점검회의'를 개최해 최근 가계부채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가계대출이 아닌 예금은행의 7월 말 기업대출 잔액(1천218조7천억원)은 한 달 새 8조7천억원 늘었다.
계절 요인에 은행의 완화적 대출태도가 더해지면서 증가 규모는 5월( 7조8천억원)이나 6월( 5조5천억원)에 비해 확대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3조8천억원, 4조9천억원(개인사업자 1조5천억원 포함) 증가했다.
예금은행의 7월 말 수신(예금) 잔액은 2천228조4천억원으로 6월 말보다 23조1천억원 감소했다.
윤 차장은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 및 결제성 자금확보 등을 위한 기업예금 확대라는 전월의 계절적 증가 요인이 소멸하고,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기업자금이 유출되면서 수시입출금식 예금이 36조6천억 줄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정기예금은 가계자금을 중심으로 12조3천억원 증가했다. 증가 폭은 6월( 4조4천억원)에 비해 대폭 확대됐다.
6월 3조3천억원 증가했던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7월 18조8천억원으로 증가폭이 커졌다.
전달 규제비율 관리를 위해 인출됐던 은행자금 재예치, 국고여유자금 유입 등으로 머니마켓펀드(MMF)가 15조1천억원 급증했다. 채권형펀드와 주식형펀드에는 각각 1조9천억원, 1조1천억원 유입됐다.
pdhis959@yna.co.kr, srchae@yna.co.kr
(끝)
7월말 기준 1천68조1천억원…주담대는 5개월 연속 증가세
금융당국 "주택 거래량 회복 영향…필요시 선제 대응책 마련"
은행 기업대출 증가폭도 확대…정기예금 급증 속 전체 수신은 감소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채새롬 기자 = 수도권 중심 주택구입 수요가 지속하면서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5개월 연속 늘었다.
이에 따라 은행 가계대출 역시 4개월 연속 증가, 잔액 기준으로 또다시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가계부채 문제가 다시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7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7월 말 기준 1천68조1천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원 증가했다.
잔액 기준으로는 지난달에 이어 또다시 사상 최대를 경신했다.
전달 대비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들어 지난 3월까지 감소세를 보이다가 4월( 2조3천억원) 증가세로 돌아선 뒤 5월( 4조2천억원)과 6월( 5조8천억원), 7월( 6조원)까지 넉 달 연속 증가했다.
특히 7월 가계대출 증가 폭은 2021년 9월( 6조4천억원)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늘어났다.
7월 은행 주담대는 주택구입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되면서 6조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증가 폭은 2020년 2월( 7조8천억원)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대였던 지난 6월( 6조9천억원)에 비해서는 줄었지만, 여전히 큰 폭 증가세를 이어갔다.
윤옥자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수도권 중심 아파트 매매거래 증가로 가계대출이 큰 폭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면서 "아파트 거래량 증가는 2∼3개월 시차를 두고 주담대 실행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택자금 수요 지속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주담대 중 전세자금대출은 지난 6월( 1천억원) 반짝 증가했다가 7월(-2천억원) 다시 감소세를 나타냈다.
전세자금대출은 6월을 제외할 경우 지난해 11월 이후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신용대출은 높은 대출금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에 따른 둔화 흐름이 지속되면서 7월(-100억원)에도 줄었다.
다만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효과 소멸, 주식투자 관련 일부 자금 수요 등으로 감소 폭은 6월(-1조2천억원) 대비 줄었다.
은행을 포함한 전 금융권 가계대출 역시 증가세를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7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달 5조4천억원 증가해 4개월 연속 증가했다.
대출항목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이 5조6천억원 늘어 전월( 6조4천억원)보다는 증가 폭이 다소 둔화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제2금융권(-4천억원)에서 감소했지만 은행권( 6조원)에서 증가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2천억원 감소해 전월(-2조9천억원) 대비 감소 폭이 축소됐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은 6조원 증가해 4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제2금융권은 6천억원 감소했다.
금융당국은 필요시 하반기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는 오는 10일 이세훈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부채 관련 관계기관 점검회의'를 개최해 최근 가계부채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가계대출이 아닌 예금은행의 7월 말 기업대출 잔액(1천218조7천억원)은 한 달 새 8조7천억원 늘었다.
계절 요인에 은행의 완화적 대출태도가 더해지면서 증가 규모는 5월( 7조8천억원)이나 6월( 5조5천억원)에 비해 확대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3조8천억원, 4조9천억원(개인사업자 1조5천억원 포함) 증가했다.
예금은행의 7월 말 수신(예금) 잔액은 2천228조4천억원으로 6월 말보다 23조1천억원 감소했다.
윤 차장은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 및 결제성 자금확보 등을 위한 기업예금 확대라는 전월의 계절적 증가 요인이 소멸하고,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기업자금이 유출되면서 수시입출금식 예금이 36조6천억 줄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정기예금은 가계자금을 중심으로 12조3천억원 증가했다. 증가 폭은 6월( 4조4천억원)에 비해 대폭 확대됐다.
6월 3조3천억원 증가했던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7월 18조8천억원으로 증가폭이 커졌다.
전달 규제비율 관리를 위해 인출됐던 은행자금 재예치, 국고여유자금 유입 등으로 머니마켓펀드(MMF)가 15조1천억원 급증했다. 채권형펀드와 주식형펀드에는 각각 1조9천억원, 1조1천억원 유입됐다.
pdhis959@yna.co.kr, srchae@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