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도시농부 50만 시대…"최소한의 식량자급 모델로"
작성일 2023-08-24 11:31:13 | 조회 33
경기도 도시농부 50만 시대…"최소한의 식량자급 모델로"
경기연구원 "도시 내 탄소저장 필요한데 농지 확보는 요원"

(수원=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경기도 도시지역에서 농업 활동을 하는 도시농업 참여자가 50만명 이상인 가운데 지자체가 도시농업을 지원해 최소한의 식량자급을 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경기도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Ⅱ'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도시농업은 도시지역 옥상, 베란다, 골목길, 시민농장 등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여가 또는 체험적인 농사를 말한다. 농촌에서 생계와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농업과는 구별된다.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도시농업 텃밭 면적은 1천12만9천㎡, 참여자는 174만명이다.
이 중 경기도 텃밭 면적은 258만9천㎡(축구장 362개 면적), 참여자는 51만3천명이다.
이와 관련 연구원은 수도권 내 도시농업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 4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도시농업 과제와 대안을 모색했다.
조사 결과, 현장에서 중점 고려할 도시농업의 목적 또는 가치로 공동체(56%), 친환경(24%), 도농 상생(16%) 등의 순으로 꼽았다.

경기도 공영 도시농업농장의 운영에 대해서는 46%가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미래에 중요도에 대해서는 91%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앞으로 도시농업 활동의 전망에 대해서는 62%는 증가할 것이라고, 24%는 현 상태로 유지, 13%는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구원은 도시농업 활성화 전략으로 독일 안더나흐의 '식용도시 (edible city)'와 같은 아무나 심고 아무나 수확할 수 있는 '아심아수 도시' 운동을 제안했다.
2010년 시작된 식용도시 사업은 공공 녹지공간을 무료로 이용해 누구나 먹거리를 재배해 수확을 할 수 있게 했다.
이 밖에 도시농업공원의 토양탄소(토양에 탄소를 저장해 탄소중립 기여) 모델 개발, 도시농업 거버넌스 활성화와 시민사회 활동 지원, 지속 관심과 투자 등을 제시했다.
이양주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도시농업은 탄소중립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사업이지만 그동안 많은 농지 투기로 각종 제도가 엄격한 상황"이라며 "경기도 통합조례 제정, 도시농업 공간에 대한 특례법 등으로 도시 내 농지를 확보해 지속 가능한 토양 탄소, 공동체 활성화, 최소한의 식량자급 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ktkim@yna.co.kr
(끝)